실업급여 신청하려면 꼭 확인해야 하는 게 바로 "고용보험 가입기간"이에요.
고용보험 가입여부와, 가입기간에 따라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냐 없냐가 판가름이 나고,
이걸 정확히 알아야 내가 실업급여받을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거든요.
"이걸 어디서, 어떻게 확인해?"라고 물으시는 분들 많아서
오늘은 고용보험 가입기간 확인하는 방법을 아주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!
1.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왜 중요한가요?
실업급여 자격의 핵심 조건
- 퇴사 전 18개월 이내에 180일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돼 있어야 해요.
- 180일은 연속이 아니라 누적으로 계산돼요.
예를 들어, 2023년 10월~2024년 2월까지 일하고, 2024년 6월~2025년 2월까지 또 일했다면,
총 10개월 일한 셈이니까 180일 넘게 가입한 것으로 인정돼요!
2. 고용보험 가입기간 확인하는 사이트
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
- 공식 홈페이지: https://total.kcomwel.or.kr
- 공인인증서 or 간편 인증(카카오, PASS 등) 로그인 가능
- 메뉴에서 [고용보험 자격이력 내역서] 발급
📌 이렇게 확인해 보세요
- 위 링크 클릭 후 로그인
- 상단 메뉴에서 [조회 → 고용보험 → 자격이력내역서] 클릭
- 이름과 주민번호 확인 → 조회 기간 설정 (최소 2년)
- PDF 파일로 다운로드하거나 바로 출력 가능
여기서 보면 고용보험 가입일자, 퇴사일자, 사업장 이름까지 다 나와요.
실업급여 신청서 쓸 때 이 서류 그대로 제출하면 되니까 정말 중요해요!
3. 모바일로도 확인할 수 있나요?
근로복지공단 모바일 앱
- '고용산재보험 토털서비스' 앱 다운로드
- 간편 인증으로 로그인 가능
- 내 고용보험 이력, 납부 이력, 자격이력 확인 가능
출퇴근 중에도 확인할 수 있어서 편하더라고요.
저도 회사 퇴사할 때 급하게 확인했는데, PDF 바로 저장도 되더라고요!
4. 회사에서 고용보험 안 넣었으면?
고용보험 누락 확인법
- 위 조회화면에서 해당 근무기간이 누락되어 있다면
- 회사 측에 문의하거나 고용노동부에 신고 가능
예전에 한 친구가 음식점에서 6개월 일했는데 사장이 고용보험을 안 넣었더라고요.
다행히 급여 입금내역 + 출근기록 제출해서 고용보험 가입 인정받았어요.
이런 경우엔 노동부 상담센터 1350에 문의하면 됩니다!
5. 자주 묻는 질문
Q. 고용보험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포함되나요?
👉 계약직, 정규직, 심지어 주 15시간 이상 알바도 포함돼요! 단, 고용보험 가입이 실제로 돼 있어야 합니다.
Q. 이력서상 근무기간이랑 다르면요?
👉 고용보험 기준이 정확한 공식 기록이에요. 실업급여 심사할 땐 이 자료가 기준이 됩니다!
✔️ 마무리 요약
- 실업급여받으려면 최근 18개월 중 180일 이상 가입 필요
- 고용산재보험 토털서비스에서 확인 가능
- 모바일 앱으로도 조회 가능
- 가입 누락되면 신고나 정정 요청 필요
혹시라도 본인이 받을 수 있을지 헷갈리면,
"고용보험 자격이력 내역서"부터 꼭 확인해 보세요.
다음 글에서는 퇴사사유별 실업급여 가능성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!